본문 바로가기
STUDY (My Job)/Youtube_배움

[Youtube] 개발자의 기본기에 대해서... (널널한 개발자 TV) 관련필기

by 태태. 2023. 1. 11.
728x90

추천영상

 

필기


[00:00 ~ 10:50] 까지의 필기

개바자의 기본기에 대해서...
Programming → 「글쓰기」 →C언어

프로그래밍의 본질은 : (수학적 논리적 사고를 기초로) 논리적으로 작성하는 글쓰기다.

C언어는 : 지금은 파이썬이나 자바를 많이 사용하지만 (2000년대 초 중반에) 프로그래밍을 한다고 하면 다 C언어를 사용했습니다.

C언어의 구성요소는 3가지인데, 
① Programming + 절차적 사고(50%★)
② 컴퓨터 구조   (에 대한 일정수준 이상의 지식) + 수학적인 상식
ex. 1비트, 2비트가 어떤 단어이고 / 비트 연산을 통한 논리연산
③ 문법 

C언어로 프로그래밍을 입문하기 어려운 이유 : 위 3개를 다 해야함.
파이썬이 유행한 이유 :문법이 좀 더 직관적이고, 인간중심사고의 문법에 좀더 가깝다. 또한 low level 에 대한 이해도가 없어도 되고, 기계에 대한 특수성에 대해서 조금은 몰라도 된다.

우선순위는,
 ① 인 Programming + 절차적 사고가 가장 중요하다고 '널널한 개발자 TV'유투버가 말했다. 
프로그래밍은 결국 / Programming + 절차적 사고로 / 시작하고 끝난다고 한다.
ㄴ 이 / Programming + 절차적 사고 / = a.k.a / "알고리즘" /

상황#1   -> 정답이라고 하는 건 어느정도 정해져 있다.

우리나라 교육 문제점 : ex 대치동 수학학원 → 애를 유형된 수학 문제를 잔뜩 풀어서 딥러닝(ㅋㅋ)을 시킨다는 것.이해가 아닌 암기로 되어버리는 학습방법.
장점 : 내가 정의된 상황에서는 효율적으로 대처하지만 
단점 : 예외의 상황에서 순발력이 많이 떨어지게 된다.

ㄴ 요새는 알고리즘도 사이트에 들어가서 문제를 많이 풀어보는 식으로 되어있어서 약간 우려가 있지만, 뭐 아얘 아무것도 안하는 것보다는 낫다.

절차적사고를 기반으로 하여,
상황에 대해서 많이 이해하고, 암기하다보면 ☞ 주관적 관념이라는 것이 생기게 된다.(내 견해 라는 것이) ☞ 이 다음부터 응용이 가능해진다.
ex. 이런 상황을 조립해봤을 때, 새로운 경험이지만 지금까지 내가 경험했던 상황들을 이렇게 보았을 때 이 상황을 이렇게 타개하면 좋을 것 같아!


[10:50 ~ 16:10]
처음에 느끼기에는, 개발자에게 가장 중요한 것이
<기술> 그 자체로 느껴질 수 있다.
초보일 때는, 문법이나 Framework 이 자체에 대한 이해와 이것이 가지고 있는 특징이나 속성들이 ('OOP'가 중요하네, '특정 기법'이)중요해 보일 수 있다.

하지만 결국 시간이 지나 기술들은 변하기 마련이고, 각 기술들을 거쳐서 결국 중요해지는 것은 '논리적 글쓰기.'이다.

'논리적 글쓰기' + '독해'

'독해' = 많이 읽은 사람이 글을 잘 쓰기 마련이다.
그래서 독해력이 매우 중요하다.

'주어진 환경과 제약조건을 따지고 나서
정확하게 기술하는 것' 이 개발자가 해야하는 일이다.


[16:10 ~ 18:28]

개발자에게 필요한 소양 : 글쓰기(★) + 기술 + 독서 (철학) + 체력

기술에 대한 트렌드
독해력을 높이기 위한 독서습관
ㄴ 철학도서 추천 : ex. 비트겐슈타인

글쓰기에 관련된 것.
ex. 유시민 작가님의 글
유시민 작가님의 글의 특징 : 군더더기가 없이 잘 읽힌다.
궁극의 정교함에 도달한 듯한 느낌. 잘 정돈되어 깔끔한 글을 많이 보도록 해야한다.
ex.코드리뷰도 그에 대한 방법론이 될 수 있겠다.

체력 : 개발자일은 앉아서 하는 것이기에 특히 (햇빛을 보아야 합성되는)비타민D 부족ㅋㅋ 육체적인 건강관리도 힘써주세요~


[시청후기_20230112]

 

지금 당장 기술적인 이해와 암기, 절대적인 경험치가 부족한 것이니까 많이 힘들어하지말고,
어찌됐든 내가 좋아하는 것들 하라고 하니 그거면 됐다~ㅋㅋㅋ 나중되면 잘 하겄지~ 즐겨!
포기만 하지말자. 파이팅!


[똥생의 응원과 맞는소리]



에라이 맞는말만 해서 할말이 없군뇨..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