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상/공부

C언어 강의필기_[정보처리기사 4과목(프로그래밍 언어)]_230212

by 태태. 2023. 2. 13.
728x90

[필기기준 : 지극히 주관적입니다.]
개념부분 : 핵심으로 이해 가능하지만 짤막한 수준으로 작성
모르는 부분 : 이해를 돕는 다른 검색 사항과 함께 작성

🔖
강의2 개념 0:15:11 정보처리기사 필기 4과목.프로그래밍 언어 활용-C언어(1)

*프로그래밍 언어

명령어의 집합 = 프로그램
작성하는 과정 = 프로그래밍

명령어집합(프로그램의 종류) = 프로그래밍 언어
저급 언어(기계어 :0,1)
고급 언어(C, JAVA, Python)

비트(Bit, Binary Digit) = 0과 1로 값으로 작성되거나 변환되어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자료의 단위
1. bit : 정보의 최소 단위(1bit 정보 표현 개수는 2^1 = 2개 = 0,1)
2. Byte : bit 8개 = 256가지 정보 표현

bit Byte KB MB GB TB


*ASCII code(아스키 코드) : 미국 표준 협회, 통신제어용
128개의 문자만 표현 👉 여러 언어들을(한국어 등) 섞어 쓸 수 없는 문제점 (암기tip: 아스끼가 속이 좁아가지고)

*Uni code(유니 코드)
16q비트, 각 나라별 언어로 모두 표현하기 위해 나온 코드 체계



🔖
강의3 문제 0:14:10 정보처리기사 필기 4과목.프로그래밍 언어 활용-C언어(2)


변수 : "변"하는 값을 담아 놓는 곳
상수 : 항"상" 값을 담아 놓는 곳 (고정값)


🔖
강의5 개념 0:13:31 정보처리기사 필기 4과목.프로그래밍 언어 활용-C언어_데이터타입, 변수

*데이터 타입(Data Type) : 변수에 저장될 데이터의 형식
데이터의 형식 ex : 문자형, 실수형, 정수형 etc
/*변수에 값을 저장하기 전에 데이터 타입을 지정하여 변수를 선언해야 한다.*/

*변수(Variable) : 변할 수 있는 값.
/*컴퓨터가 명령을 처리하는 도중 발생하는 값을 저장하기 위한 공간*/


1. 부호 없는 정수 VS 부호 있는 정수

부호 는 정수 말 그대로 부호 -나 +가 존재하지 않는 숫자 세계를 나타낸다. 0과 자연수의 표현.
그리고 부호 있는 정수 은 숫자 세계를 표현하는 것이다. 음수, 0, 양수

tip 태초 먼저 발견된 자연에서 음수값은 찾아볼 수가다. : 부호 없는 정수 (0 , 자연수)
부호가 는 정수 : ( -, 음수값이 생김으로써 ) 더 수의 세계가 확장(더 넓어졌다.)

Reference

강의
https://www.youtube.com/watch?v=t4VGsuiKfhI&list=PLz95GL3y9Hv1pC1yOWBV1yqHxi4jEOKez&index=5
참고자료
https://sudo-minz.tistory.com/6

 

컴퓨터에서의 정수표현 (부호있는 정수, 2의 보수)

컴퓨터에서는 정수, 실수, 문자, 이미지, 동영상, 소리를 어떻게 표현하는가? 오늘은 컴퓨터 내부의 데이터 표현에 대해 생각해 보려고 한다. 우리가 지금 보고 있는, 무수히 많은 문자, 이미지,

sudo-minz.tistory.com

 


2. 논리값

부호가 는 정수 : ( -, 음수값이 생김으로써 ) 더 수의 세계가 확장(더 넓어졌다.)

Reference
http://www.ktword.co.kr/test/view/view.php?m_temp1=4100

 

논리 값

  Logical Value, Truth Value, Boolean Value   논리 값, 진리 값, 부울 값, Boolean 값(2022-02-28)

www.ktword.co.kr

 

종류 데이터타입 크기 👉 암기사항

변수명 작성 규칙 반드시 - 맞는것 아닌 것을 찾아라 - 중요한 부분 - 다 기억하셔야 합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AsmxkE4-1YA&list=PLz95GL3y9Hv1pC1yOWBV1yqHxi4jEOKez&index=7


https://www.youtube.com/watch?v=V8SomYrA0aE&list=PLz95GL3y9Hv1pC1yOWBV1yqHxi4jEOKez&index=12

비트니까 & 하나!

int k = a > b ? (a-b) : (b-a);
a가 b보다 큰게 맞나요?
참이면(맞으면) 2번째의 식을 실행
거짓이면(틀리면) 3번째의 식을 실행


[노트필기]

 

728x90
반응형

'일상 >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보처리기사 준비중] 일정표  (7) 2023.02.13

댓글